Greedy : 탐욕스러운, 욕심이 많은
그리디 알고리즘 : 단순 무식하게, 탐욕적으로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
→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
창의력, 문제를 풀기 위한 최소한의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는 능력 필요 !
가장 큰 순서대로, 가장 작은 순서대로 - 기준 제시
정렬 알고리즘과 짝을 이뤄 출제
대표 예제. 거스름돈
당신은 음식점의 계산을 도와주는 점원이다. 카운터에는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500원, 100원, 50원, 10원짜리 동전이 무한히 존재한다고 가정한다.
손님에게 거슬러 줘야 할 돈이 N원일 때 거슬러줘야 할 동전의 최소 개수를 구하라. 단, 거슬러 줘야 할 돈 N은 항상 10의 배수이다.
가장 큰 화폐 단위부터 거슬러 주기
→ 500, 100, 50, 10
n = 1260
count = 0
# 큰 단위의 화폐부터 차례대로 확인
coin_types = [500, 100, 50, 10]
for coin in coin_types:
count += n // coin # 해당 화폐로 거슬러 줄 수 있는 동전의 개수 세기
n %= coin
print(count)
화폐의 종류만큼 반복 수행
화폐의 종류 k개 → 시간 복잡도 : O(k)
정당성 확인 필요
가지고 있는 동전 중에서 큰 단위가 항상 작은 단위의 배수이므로 작은 단위의 동전들을 종합해 다른 해가 나올 수 없기 때문
500, 400, 100, 50, 10
1안 ) 800원 : 500원 1개, 100원 3개
2안 ) 800원 : 400원 2개
대부분의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에서는 이처럼 문제 풀이를 위한 최소한의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이것이 정당한지 검토할 수 있어야 답을 도출할 수 있다.
아이템 1 : 50만 원, 5KG → 10
아이템 2 : 60만 원, 10KG → 6
아이템 3 : 140만 원, 20KG이 있다고 가정하자. → 7
배낭에 담을 수 있는 총 무게는 30KG이다.
비교. 도둑이 그리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?
Fractional KnapSack Problem (분할 가능한 배낭 문제)
가방에 넣을 수 있는 물건 중 가장 비싼 물건을 넣는다. 그다음으로 넣을 수 있는 물건 중 가장 비싼 물건을 넣는다.
→ 무게 당 이익이 높은 보석을 기준으로 넣기 !
아이템 1, 아이템 3, 아이템 2를 5KG 넣기
0-1 KnapSack Problem (0-1 배낭 문제)
도둑의 가방은 30kg까지 담을 수 있고, 아이템2, 아이템3를 선택하면 200만원으로 이익이 가장 크다.
하지만 그리디 방식으로는 아이템1, 아이템3를 선택해 190만원의 이익만을 챙길 수 있다.
즉, 탐욕 알로리즘으로 최적해를 구하진 못했다.
→ Dynamic Programming (동적 계획법) 방식으로 해결
그리디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매 순간, 최적이라 생각되는 해답(locally optimal solution)을 찾으며, 이를 토대로 최종 문제의 해답(globally optimal solution)에 도달하는 문제 해결 방식이다.
그러나 도둑의 예와 같이 항상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지는 못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.
따라서 두 가지의 조건을 만족하는 “특정한 상황” 이 아니면 탐욕 알고리즘은 최적의 해를 보장하지 못한다.
'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패스트캠퍼스 - 30개 프로젝트로 끝내는 추천시스템 강의 Chapter10. 기획안 기반 추천시스템 개발 실습] (1) | 2024.01.28 |
---|---|
[알고리즘 코테] 정렬 (1) | 2023.11.19 |
[패스트캠퍼스 - 30개 프로젝트로 끝내는 추천시스템 강의 Chapter06. 추천시스템이 필요한 이유] (0) | 2023.10.29 |
[SQLD 1과목 요점정리] (0) | 2023.09.03 |
[패스트캠퍼스 - 30개 프로젝트로 끝내는 추천시스템 구현 강의 Chapter01. 고전적인 추천시스템] (2) | 2023.08.27 |